트럼프, 대북제재 행정명령 발표…한일 정상 지지

유엔총회에 참석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뉴욕 펠리스 호텔에서 회동을 하고 있다.
유엔총회에 참석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뉴욕 펠리스 호텔에서 회동을 하고 있다. (AFP PHOTO)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 새 대북제재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공조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뉴욕 유엔 본부에서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 펠리스호텔에서 이뤄진 회동에서 북한과 무역거래를 하는 외국은행과 기업, 개인을 겨냥한 새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 오늘 저는 서명한 새 행정 명령을 발표하면서 개별 회사, 금융 기관, 북한과의 무역 및 금융을 목표로 하는 우리의 권한을 크게 확대했습니다. (Today I'm announcing a new executive order, just signed, that significantly expands our authority to target individual companies, financial institutions, that finance and facilitate trade with North Korea)

트럼프 대통령은 3자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미국 정부의 올해 들어 5번째 제재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대북제재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북한과 거래하는 어떤 외국 은행도 제재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운송과 무역망을 대상으로, 북한을 방문한 선박과 항공기에 대한 180일간의 금지령이 내려집니다.

이 행정명령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미온적인 중국과 러시아 등을 압박하기 위한 '세컨더리 보이콧' 즉 제3자 제재 성격을 담은 미국 정부의 강력한 독자 제재로 평가됩니다.

이에 대해 한일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방금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미국의 행정명령을 통한 독자적 제재조치와 중국의 전향적 조치는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를 이루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또한 문 대통령은 "미국의 독자적 제재 조치와 중국의 전향적인 조치는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를 이루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한국도 그에 최대한 공조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아베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새로운 집행명령도 새로운 차원의 압박을 북한에 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하고 "새로운 대북 제재 조치를 진심으로 지지하며, 이런 협력을 통해 북한 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철폐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새로운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를 진심으로 지지한다. 3국간 협력을 통해 우리는 핵무기, 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철폐로 나아가야겠고 추후 다음 단계의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