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북한과 군사협력 중단 재확인

0:00 / 0:00

앵커 : 우간다가 북한과의 군사 협력 중단을 재확인했습니다. 남한과의 실질 협력에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간다가 북한 대신 남한과 손을 잡겠다는 방침을 다시 한 번 밝혔습니다.

남한의 외교부 당국자는 우간다가 북한과의 군사안보 협력을 중단키로 한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30일 말했습니다. 우간다 측의 재확인은 언론보도를 바로잡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

남한과의 정상회담에서 우간다가 북한과의 군사안보 협력 중단 의사를 밝혔다는 청와대의 발표와 관련해 AFP 통신은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을 인용해 “우간다 정부가 이를 부인했다”고 현지시간으로 29일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에 우간다 외교장관은 현지 방송인 NBS와의 회견에서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에 따라 북한과의 협력을 중단한다”고 밝혀 AFP 보도를 반박했고, 우간다 정부 부대변인도 “외교장관의 발언이 우간다 정부의 입장”임을 알려왔다고 남측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유엔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위한 우간다 측의 협조를 요청했다”며 “이에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이 북한과의 군사안보 협력을 중단하는 등 안보리 결의를 이행한다고 표명하는 뜻깊은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습니다.

우간다 측의 이번 결정은 남한과의 경제 협력을 위한 포석으로 풀이됐습니다.

김규현 대통령 외교안보수석 : 북한과의 군사협력 보다는 우리와의 실질협력에 보다 큰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전략적 판단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간다는 남한이 1970년대 경제발전을 위해 실시한 ‘새마을운동’을 2009년 도입했고 현재 30개 시범 마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은 30일 무세베니 대통령 내외와 함께 우간다의 음피지주에 위치한 농업지도자연수원 개원식에 참석하기도 했습니다. 이 연수원은 아프리카 최초의 새마을운동 지도자 교육시설입니다.

우간다의 무세베니 대통령은 지난 5월 초 북한의 7차 당 대회에 축전을 보냈던 2명의 정상 가운데 한 명입니다. 1986년부터 집권하고 있는 무세베니 대통령은 김일성 생전인 1987년, 1990년, 1992년 평양을 방문한 바 있습니다.

북한과의 군사 안보 협력을 중단한다는 이번 우간다의 결정이 양측의 외교관계 단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북한의 전통적 우방인 우간다가 남한과의 경제적 관계를 더 중시하는 인상을 줘 북한 정권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