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유엔의 대북제재 이행 강화될 것”

MC: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문가 감시단이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 것을 계기로 유엔의 대북제재이행이 강화될 전망이라고 미국 정부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정아름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 감시단이 최근 제출한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에 대한 보고서가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이번 보고서가 유엔 내 대북제재 이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미국 정부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이 정부 당국자는 3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과 관련한 유엔 안보리 논의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유엔의 전문가 감시단이 확인한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은 유엔 안보리 내 대북 제재들을 더욱 엄격하게 이행하도록 자극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했으며, 북한이 스스로 국제사회와 한 약속을 어겼다는 게 미국의 공식 입장”이라며, 더 구체적인 대응 방안과 관련해 “제재위원회가 전문가 감시단이 낸 보고서의 내용을 놓고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보고서는 핵 개발과 관련 제재 기업의 명단에 북한 업체들을 추가로 포함시키고 핵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북한 관리들을 여행금지 대상 명단에 추가하는 권고안을 내놓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다른 유엔 관계자도 “이번 보고서는 유엔 대북 제재위원회에서 북한의 농축 우라늄 시설과 관련해 어떤 단계를 밟아나갈 지 구체화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유엔 전문가 감시단이 2월 중순 유엔 안보리에서 제재위원회의 대북 제재와 관련한 활동과 성과를 발표하는 비공개 발표회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유엔 안보리 발표회에서 대북 제재위원회의 활동과 성과에 대한 논의 뿐만 아니라, 유엔 회원국의 대북제재결의 이행사항과 북한의 위반 사례도 논의될 수 있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유엔 전문가 감시단의 보고서는 북한의 우라늄 농축작업이 2009년부터가 아니라 1990년대 이미 시작된 것으로 판단했으며, 북한이 지난해 공개한 영변 핵시설 외 추가 시설을 보유한 것으로 결론지었다고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