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측 정부가 '흡수통일'을 위한 준비팀을 만들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 보도 내용을 즉각 부인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부위원장이 10일 서울에서 열린 조찬 강연에서 “비(非)합의 통일이나 체제 통일에 대한 팀이 우리 조직에 있다”고 말했다고 중앙일보가 11일 보도했습니다. “체제 통일, 흡수 통일은 하기 싫다고 해서 일어나지 않는 건 아니다”라는 말도 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통일준비위원회의 부위원장이 공개석상에서 한 발언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중앙일보의 보도 내용을 즉각 반박했습니다. “흡수통일 준비팀을 만들었다는 표현은 사실과 다르다”는 겁니다.
통일준비위원회도 보도자료를 내고 진화에 나섰습니다. “비(非)합의 통일이나 흡수통일에 대한 팀이 통준위에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는 겁니다. 당시 정 부위원장의 발언은 “통일비용 측면에서 합의를 통한 통일이 훨씬 부담이 적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도 설명했습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 정부는 합의에 의한 평화통일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이러한 입장에 따라서 통일준비위원회도 통일 과정과 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 등을 연구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홍용표 통일부 장관 후보자도 “(흡수통일 준비팀은) 없다”며 “잘못된 보도이고 정정 설명이 나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은 물론 여당도 정종욱 부위원장의 발언을 비판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정병국 의원은 “유사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계획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그러나 그게 이렇게 언론에 보도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에 대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정부가 다양한 통일 방안 중 하나로 북한 붕괴에 의한 흡수통일 가능성을 상정해 연구하고 준비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고 말합니다.
국책 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도 “정종욱 부위원장이 그 같은 발언을 했다면, 이는 정부가 하고 있는 다양한 통일 준비 방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본다”고 익명을 전제로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만약 북한이 갑자기 무너졌을 때 한국 정부가 아무 준비를 하지 않고 있는 상태라면 어찌 되겠느냐”면서 “지향점은 합의 통일이지만, 모든 상황에 대한 준비는 하고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7월 출범한 통일준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정부·민간 합동 기구이며 민간 전문가 30명과 정부 당국자 등 50여명의 위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간 북측은 공식 발표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통일준비위원회를 체제통일, 즉 흡수통일을 겨냥한 조직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