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이 '체제 통일'이라는 용어를 선택한 것이 "적절치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부위원장은 위원회 내에 흡수통일을 준비하는 조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이 12일 연세대에서 열린 학술회의 기조연설에서 남한 정부는 “어느 일방에 의한 흡수통일이 아닌 평화통일을 지향한다”고 말했습니다.
남한 정부의 기존 입장을 이처럼 재확인한 것은 통일준비위원회 내에 “흡수통일 준비팀이 있다”고 정 부위원장이 말했다는 11일 언론 보도를 해명하는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정 부위원장은 기조연설 후 기자들과 만나 “통일준비위원회의 활동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용어의 선택이 적절치 못해 위원회 활동 내용이 잘못 보도된 것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말실수를 인정한 셈입니다.
강승규 고려대 교수: (정종욱 부위원장이) 일단 말실수를 하신 것 같고요. 그리고 통일준비위원회 내에 흡수통일을 연구하는 조직이 없다는 점을 말씀하고자 하신 걸로 보입니다.
지난 10일 서울에서 열린 한 조찬강연에서 정 부위원장은 통일준비위원회의 활동을 설명하면서 ‘체제통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정 부위원장은 ‘체제통일’은 “합의통일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학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나는 아주 넓은 의미에서의 통일을 염두에 두고 얘기한 것”이라며 “적절한 단어 사용이 아니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부위원장은 “위원회 내에 흡수통일 준비팀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흡수통일을 전제로 연구하는 팀도 없다”고 재확인했습니다. 또한 정 부위원장은 “다양한 통일 방안을 검토했지만, 평화통일만이 한반도에서 분단을 종식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함께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도 말했습니다.
정 부위원장은 “지난해 말에 (통일방안에 대한) 1차 연구가 끝났고 이제는 그 연구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과제 실행 단계에 들어가 있다”며 “거기에는 북한에 대한 흡수통일을 전제한 과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연구의 주요한 관심은 합의통일”이며 “이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선정한 이유는 합의통일이 아닌 통일은 비용이 많이 들고 그 상태를 통제할 수 있다는 확실한 보장이 없기 때문”이라고도 정 부위원장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은 “통일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북한의 경제발전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북한이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남북 간에 민간교류와 협력이 확대되는 것이 평화통일을 앞당기는 지름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7월 출범한 통일준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정부·민간 합동 기구이며, 박근혜 대통령이 위원장을, 그리고 통일부 장관이 정부측 부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간 북측은 공식 발표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통일준비위원회를 체제통일, 즉 흡수통일을 겨냥한 조직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