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한 대통령 직속의 통일준비위원회가 오는 4월 공식 출범합니다. 통일준비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맡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청와대는 14일 오전 통일준비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4월에 출범하는 통일준비위원회는 박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며, 위원장을 포함해 5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는 내용입니다.
박 대통령 자신이 한반도 통일과 관련한 중요 사안들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통일준비위원장은 2명의 부위원장을 지명하며, 위원은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으로 구성됩니다.
정부위원에는 통일부와 외교부, 국방부 등 중앙부처 장관과 청와대 공무원들이 참여하며, 민간위원은 분야별 전문성과 경륜을 고려해 각계각층에서 선정된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부위원장의 위상에 대해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기 때문에 부위원장은 장관급이 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습니다.
또 위원회 업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분과위원회와 기획운영단, 자문단 등도 설치됩니다.
통일준비위는 앞으로 입법예고와 국무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이번 달 안에 대통령령을 공포하고 위원 위촉 등을 마칠 예정입니다.
서유석 북한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통일준비위원회는 정부와 민간에서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와서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기존의 통일정책 보다 더 구체화해서 그림을 만들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준비위원회는 통일준비를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제반 분야별 통일준비 과제를 발굴해 연구하며, 통일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촉진하는 기능을 맡게 됩니다.
그러나 기능과 업무가 기존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나 통일부와 상당 부분 겹친다는 지적이 있어 향후 이를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