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 출범

0:00 / 0:00

앵커 : 한반도 평화통일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한국정부의 발걸음이 빨라졌습니다. 어제, 15일에는 대통령 직속의 통일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습니다.

자세한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정책 구상을 실현할 통일준비위원회가 15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청와대는 이날 출범식에서 통일준비위원회의 인적구성 및 운영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는 박근혜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50명으로 구성됐습니다.

위원장인 박 대통령 외에 민간위원이 30명, 국회의원 2명, 정부위원 11명, 국책연구기관장 6명 등이 준비위원으로 뽑혔습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 특히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배경과 철학을 갖춘 분들이 참여하게 됩니다.

이 중 부위원장은 2명으로 주중대사를 역임한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와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각각 임명됐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는 외교안보와 경제, 사회문화, 정치법제도 등의 분야에서 4개의 분과위를 구성합니다.

이에 따라 통일준비위원회는 박 대통령이 제시한 ‘통일대박론’과 ‘드레스덴 연설’ 등의 통일정책 구상을 사실상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부에서는 통일준비위가 출범하면서 기존 통일부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의 역할 중첩이 우려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통일준비위는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민간 협의와 연구가 주요 역할”이라면서 “기존의 통일부나 민주평통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 출범과 관련해 또 하나의 관심은 북한의 반응입니다.

북한은 그동안 박 대통령의 통일정책에 대해 “자신들을 붕괴시켜 흡수통일을 하려는 시도”라며 비난해왔습니다.

때문에 한국 정부의 이번 통일준비위원회의 출범이 향후 남북관계의 또 다른 변수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통일준비위원회 출범에 맞춰 농업과 축산, 보건 의료 분야 등 민간단체의 대북 지원사업에 남북협력기금을 통해 약 3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