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이 한반도 비정상 극복의 길”

0:00 / 0:00

앵커: 남한의 통일준비위원회가 7일 청와대에서 첫 회의를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이 한반도의 비정상을 극복하는 길"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일준비위원회 첫 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을 더 이상 미룰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내년이면 남북 분단 70주년. 박 대통령은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뤄내는게 정부가 해야할 숙원 사업이자 국민의 여망”이라며 “남북의 물리적 통합을 넘어 새로운 한반도의 미래를 설계하고 한민족의 대도약을 이끄는 성장 동력”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통일이 한반도의 비정상을 극복하는 궁극의 길이며 한민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근원적 처방이라고 생각합니다.

박 대통령은 통일 준비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남북한 주민의 인도적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꼽았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등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 대통령은 또 공동 번영을 위한 ‘민생 인프라,’ 즉 주민의 생활을 돌볼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하면서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펼치는 일도 ‘시급한 과제’ 중 하나로 언급했습니다.

이는 북한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의미도 있지만, “통일 이후를 준비하는 기초 공사이기도 하다”고 박근혜 대통령은 덧붙였습니다.

박 대통령은 “통일의 첫단추를 끼우기 위해서는 한반도 긴장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그동안 긴장과 대치의 상징지대였던 DMZ, 비무장지대에 평화공원을 조성한다면 세계에 한반도 통일의 시작을 알리고 긴장완화를 위해서도 매우 의미있고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의 역할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드레스덴 구상과 정신을 어떻게 실천할지 통일준비위에서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달라"고 말했습니다. 드레스덴 선언은 박 대통령이 지난 3월 독일 방문길에 내놓은 통일 구상을 뜻합니다.

박 대통령은 통일준비위원회가 국민의 공감대 속에서 통일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는 범국민적 통일 공론화의 장이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박근혜 대통령: 저는 앞으로 통일을 논의하는 과정 자체가 우리 사회를 통합시키는 촉매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북한이 통일준비위원회 출범을 ‘흡수통일’ 시도라며 비난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박 대통령은 “정부의 목표는 북한의 고립에 있지 않다”면서 “통준위가 활발히 활동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진정성 있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북한도 긍정적 변화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통일준비위원회는 이날 통일헌장 제정 검토, 통일시대를 견인할 신경제성장 방안 제시, 생활 속 통일준비 실천과제 발굴, 작은 통일정책 대안 개발 등 주요 과제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습니다.

통일준비위원회 구성 계획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월에 밝혔지만, 세월호 참사 등의 여파로 지난달 15일에야 인적 구성을 마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