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이 제66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며 군이 평화통일의 기반 구축을 위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해 언급하면서 "북한 주민의 삶을 풍요롭게 열어나가야 한다"고도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도 북한의 인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1일 충청남도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제66주년 기념식에서 박 대통령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인권 문제를 거론한 사실을 이야기하면서 “오늘날 국제사회가 크게 우려하고 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북한 인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서 박 대통령은 군과 국민이 해야할 일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북한 주민들의 삶을 풍요롭게 열어나가고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이제 우리 군과 국민들이 사명감을 갖고 해야 할 일입니다.
군과 국민이 “북측 주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박 대통령은 이 같은 사명감을 완수하기 위해 “대북 억제와 대응 능력은 물론, 한반도 안정과 세계 평화에 이바지하는 군으로 더욱 크게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되는 시급한 과제”로 북한의 핵 문제를 꼽았습니다.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특히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은 “안보환경이 매우 불안정하다”면서 북한이 이른바 병진노선을 앞세워 핵무기 개발을 고수하고 있고 연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며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은 핵이 남북관계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임을 직시하고, 하루속히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