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남북통일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남북이 독일 방식으로 완전한 통일을 할 경우 북한 인구의 7%가 남한 지역으로 이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 국민들은 남북통일이 되기를 얼마나 원하고 있을까요? ‘통일이 매우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이 15.6%, ‘통일이 약간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이 53.7%로 전체 응답자 중 69.3%가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통일연구원 김갑식 연구위원이 4일 공개한 ‘북한과 남북통합에 대한 인식’ 자료에서 나온 겁니다.
또 통일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를 꼽으라는 질문에는 응답자 중 36.9%가 ‘같은 민족이니까’를 들었고, 24.2%는 ‘전쟁의 위협을 없애기 위해서’라고 답했습니다. 다음으로 17.9%가 ‘이산가족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서’라고 답했고, 15.4%는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통일의 이익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국가적 관점과 개인적 관점에서 상반된 입장을 보였습니다. ‘국가에 이익이 된다’는 응답자는 60.5%였지만, ‘내게 이익이 된다’고 답한 응답자는 34%에 불과했습니다.
도희윤 행복한통일로 대표 : 국가 발전이라는 차원 속에서 나 개인을 생각해야 될 것 같은데요. 처음에는 개인이 헌신하고 희생하는데, 이것이 국가의 이익에 부합될 때 결국 나중에는 개인의 이익으로 돌아온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9월 22일부터 10월 6일까지 전국의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그런가 하면 이날 남한의 학술연구단체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독일 할레경제연구소(IWH)와 공동으로 통일경제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통일 후 북한의 변화상을 예측한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남북이 독일 방식으로 완전한 통일을 할 경우 북한 인구의 이동 변화를 예측했는데, 북한 인구의 7%가 남한 지역으로 이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 인구가 2천400만 명이라고 봤을 때 7%는 170만 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북한 지역의 실업률을 추정한 결과,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최대 30∼50%대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북한 주민의 실업 대란을 막는 방안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김보민 부연구위원은 “독일이 통일 후 실시한 실업자 훈련프로그램처럼 노동수요의 변화를 예상한 프로그램을 미리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독일 측 발표자인 할레경제연구소(IWH) 마이케 이렉 연구원은 “독일 통일로 경제성장 잠재력이 일정 기간 손상됐지만, 2000년대 초반 이후에는 통일로 인한 이익이 컸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