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국무총리와 청와대 인사 개편 등으로 대북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한국 언론의 추측성 보도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4일 "기존의 대북 압박 정책은 계속돼야 한다"며 변화의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는 한반도 신뢰 구축에 기반을 둔 튼튼한 안보입니다. 그러나 최근 안보분야에서 새로운 변화가 있을지 모른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국 언론의 이같은 보도는 김병준 국무총리 지명자가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이 2선 후퇴한 뒤 자신이 책임 총리로서 국정 전반을 총괄하겠다는 뜻을 밝힌 뒤 나온 것입니다. 총리의 권한에는 장관 제청권이 포함돼 있어 내각의 개편도 점쳐지는 상황입니다.
실제로 4일 열린 통일부 정례회견에서 “김병준 총리 지명자가 정식으로 국무총리로 임명돼 국정을 장악하면 대북압박 기조에 변화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는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북한 도발의 엄중성이 전 세계가 인식하듯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우리 내부에 약간의 변화가 있다 하더라도 그러한 북한의 엄중성을 고려할 때는 이러한 기조가 계속 나가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정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북한의 변화를 위해서 대화와 교류 또는 제재를 혼용해서 쓰겠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대변인은 일부에서 제기되는 민간차원의 남북교류와 인도적 차원의 지원 등에 대해서도 “북한이 핵 위협 등 도발을 지속하는 상황에서는 부적절하다”고 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