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된 데 대해 미국은 즉각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일 오전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제재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자 곧바로 공식 성명을 통해 “강력하고 단합되며 적절한 국제사회의 대응”이라며 높게 평가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한 목소리로 북한에 단호한 메시지를 보냈다”며 이는 “북한이 위험한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주민들을 위해 더 나은 길을 택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이날 성명을 통해 “국제사회의 의무와 약속을 지속적으로 위반한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합된 결의를 보여줬다”고 환영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이번 결의가 20여 년 만에 가장 강력한 안보리 제재조치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결의에 북한의 모든 수출입 화물 검색 의무화와 천연자원 교역에 대한 분야별 제재 등 전례 없이 엄격한 제재 조항들이 담겨 있다는 것입니다.
케리 장관은 이어 유엔 안보리는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반영하는 이번 결의에 따라 “도발행위를 지속하면서 한반도는 물론 전 세계에 위협을 주는 북한 정권에 대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도 이날 즉각 환영 성명을 내고 “북한의 핵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로이스 위원장은 자신이 발의해 최근 제정된 미국의 포괄적 대북 제재법이 유엔 안보리의 전례 없는 대북 제재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해 기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정권의 불법적인 핵,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줄을 완전히 차단하는 내용의 대북 제재법 상의 모든 권한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한편 미국 백악관의 조시 어니스트 대변인은 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이번 유엔 결의 채택에 대해 북한이 어떻게 반응할 지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국제사회의 이러한 압박으로 북한 정권의 행태에 변화가 있을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는 지적입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이번 유엔 결의가 북한 주민의 고통을 늘리려는 목적이 아니라 불법적으로 핵과 미사일 개발을 일삼는 북한 지도부에 더 많은 대가를 치르게 하려는 것임을 거듭 분명히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