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유엔이 각종 제재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북한에 협조하는 국가들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일부 해당국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최근 보고서를 발표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를 심각하게 위반하는데도 협조하고 있는 나라들이 없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달 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공식 제출된 것으로 알려진 이 보고서는 시리아와 이란, 우간다, 콩고, 미얀마, 그리고 쿠바 등을 지목하면서, 이들 국가 때문에 대북제재가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북한 당국이 자국의 군사 전문가 45명을 아프리카 우간다로 보내 군경 훈련을 실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아프리카 나미비아 정부는 수도인 빈트후크에 있는 군수공장 등 몇 건의 벤처사업이 북한과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나미비아의 경우, 만수대 해외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북한업체가 나미비아의 군사학교와 국방부 본부 건설사업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도 지난 2013년 이집트로 가던 북한 선박에서 스커드 미사일 관련 부품이 적발되는 등 북한이 아프리카를 비롯해 여러 중동국가들과 군사적 교류 및 군수물자 수출입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에 협조적인 국가로 지목된 일부 국가는 이같은 보고서 내용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우간다 현지 언론매체인 데일리 모니터(Daily Monitor)는 제임스 무구메(James Mugume) 우간다 외무부 사무차관을 인용해 북한 군사관계자의 우간다 방문은 유엔 대북제재를 위반한 것이 아니라고 지난 29일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무구메 사무차관은 “우간다에는 과거 북한으로부터 들여온 무기들이 많은데 그것들을 수리하기 위한 교류일 뿐이지, 북한의 핵확산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주장은 우간다와 비슷한 상황에서 북한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다 유엔의 대북제재 결정을 받아들인 뒤 북한과의 군사적 관계를 완전히 단절했던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상황과 대조를 이루고 있어 향후 우간다 등 이번에 보고서가 지목했던 나라들이 안고 가야 할 부담이 상당히 클거란 관측입니다.
최근 발생했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북한을 상대로 한 유엔과 세계 각국의 제재가 더욱 강력해 질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에게 우호적인 국가들이 어떤 태도 변화를 보일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