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ICBM 즉, 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4형' 발사에 따라, 북한의 석탄 수출 전면 금지 등 대외 수출 규모를 대폭 제한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결의안이 5일 표결에 부쳐질 예정입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이 4일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 초안을 안전보장이사회 15개 이사국들에 회람했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결의안에는 북한의 석탄과 철, 철광석, 납, 해산물 등의 수출을 금지해 북한의 연간 대외수출액 30억달러에서 1/3 수준인10억달러를 감축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북한 해외 노동자 추가 고용 금지, 조선무역은행 제재 대상 지정 등을 통한 북한의 수입 제한 및 국제금융체계 차단 조치가 포함됩니다.
아울러 결의안에는 대북제재위원회가 안보리 결의 위반 행위와 관련된 선박을 지정, 동 선박들의 유엔 회원국 항구 입항을 금지하는 조치와 북한의 개인 9명과 단체 4곳이 제재 대상으로 지정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안보리는 오는 5일 오후 3시(미 동부 시각) 강화된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공식회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 로이터 통신은 유엔 외교관의 말을 인용해 북한이 2017년에 석탄 수출로 약4 억달러, 광물 수출로 1억3천만달러, 해산물 수출로 2억9천만달러를 벌어 들인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번 결의안 초안이 북한의 수출에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로이터 통신은 4일 익명의 외교소식통이 러시아와 중국이 결의안 초안을 지지할 것이라고 확신했다고 전했습니다.
결의안이 채택되려면 찬반 표결에서 미국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의 만장일치 찬성이 필요합니다.
상임이사국은 '거부권'을 가지고 있어서 상임이사국 1개국이 반대를 하면 나머지 14개 이사국들이 모두 찬성 한다고 해도 결의안은 통과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달 4일 북한의 ICBM급 '화성-14형' 시험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하고 추가 제재 논의에 들어갔지만 한 달 동안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