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유엔서 미국과 상반 투표 ‘최다’

0:00 / 0:00

앵커 : 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국제 외교무대에서 미국의 의견에 가장 많이 반대했으며 국제사회의 중론과도 가장 동떨어졌다고 지난해 유엔회원국의 투표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에서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유엔에서 논의한 주요 안건 중 미국 정부가 중요하다고 분류한 모든 안건에 미국과 반대로 투표한 유일한 유엔회원국이라고 국무부가 의회에 보고했습니다.

국무부가 최근 의회에 제출한 ‘2013년 유엔투표보고서’를 보면 북한은 지난해 유엔 총회가 시행한 총 84건의 투표에서 미국과 다른 의견이었던 적이 52번으로 유엔회원국 192개국 중 가장 많았습니다.

북한은 미국 정부가 국가 이익과 직접 연관되었다고 주목한 11건의 안건 모두 미국의 의견에 반대하거나 기권했습니다.

중동 지역의 분쟁과 관련한 안건과 독재국가의 인권상황 개선을 촉구하는 안건, 그리고 핵무기 폐기를 위한 국제사회 행동 등이 지난해 미국이 주목한 주요 안건입니다.

11건의 주요 안건 중 북한은 미국의 쿠바 경제봉쇄, 팔레스타인 권리위원회, 핵무기 폐기, 이스라엘 인권조사, 시리아 인권 등 7건에 미국과 반대 쪽으로 투표했습니다.

이외 무기거래협약, 군비투명성, 이란인권, 농업기술 등 4건의 안건에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거나 기권했습니다.

스위스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인 ‘인권을 위한 국제봉사’(International Service for Human Right) 마이클 이나이첸 대변인은 유엔 총회 투표에서 극과 극의 선택을 한 미국과 북한의 안건 중 대표적인 것이 인권과 핵 문제였다고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마이클 이나이첸 대변인 :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해 북한인권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북한 인권뿐만 아니라 시리아, 이란의 인권 개선을 촉구한 결의에 미국과 북한은 정반대의 투표를 했습니다.

이나이첸 대변인은 미국 국무부의 유엔 총회 주요 안건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1월과 3월 북한의 핵개발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반대한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결의도 미국과 북한의 외교 대립에 포함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국무부는 북한이 국제사회가 동의한 안건 5건 중 한 건에 반대했다며 유엔의 다수와 대립하는 투표의 비율이 21%라고 집계했습니다.

북한은 유엔 총회 투표 중 찬성 7건 반대 52건을 제외한 나머지 24건은 기권하거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북한은 아프리카의 채드와 코모로, 아메리카 대륙의 섬나라인 아이티와 함께 국제사회가 합의한 안건에 가장 많이 반대한 네 나라에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