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달 대북 제재와 관련한 전체 회의를 열어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라고 유엔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오는 17일 전체회의를 열어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단(전문가 패널, panel of experts)의 최종 보고서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대북 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은 이를 위해 12일 유엔 대북제재 결의와 관련한 ‘최종 보고서’를 유엔 안보리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는 전문가단의 임기 전 마지막 보고서입니다.
특히, 이 회의에서는 북한의 우라늄 문제도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익명을 요구한 유엔 관계자는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전문가단의 활동을 논하는 자리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 등이 깊이 있게 논의되는 것이 관례”라면서 이를 뒷받침했습니다.
이 유엔 관계자는 또 북한의 우라늄 농축 시설의 수출입 관련 위반 여부 등 외부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 제재위원회가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안보리의 북한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한 깊은 우려를 반영한 겁니다.
앞서 지난 2월 북한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한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의 보고서 공식 채택과 공개가 중국의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어, 이번 회의에서 북한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전될 지 주목됩니다.
특히 5월 안보리 순회 의장국인 프랑스가 북한 우라늄 시설에 대해 강경한 입장이어서 논의 진전에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는 한국은 참가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엔 관계자는 또 전문가단이 지난 3개월간 대북 결의를 위반한 여러 회원국의 사례를 접수했고 해당 국가를 방문했지만 발표할 만한 증거나 확인된 사례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