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협상, 북 고립탈피 여부에 달려”

0:00 / 0:00

앵커: 최근 미국과 북한 사이 추진됐던 양국 관리의 접촉이 무산된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향후 미북협상 재개는 북한의 국제 외교적 고립탈피 여부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맨스필드재단의 프랑크 자누지 대표는 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최근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한 측 관리의 만남이 무산된 후에도 미북 양측의 접촉 시도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향후 3, 4개월 동안 북한의 국제 외교적 고립 탈피 여부가 미북협상 재개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란 게 자누지 대표의 말입니다.

자누지 대표: 오바마 행정부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추구했지만 만일 김정은이 중국, 러시아와 고위급 회담을 통해 효과적으로 국제적 고립을 탈피한다면 미국은 6자회담 등을 통해 미북협상을 재개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을 것입니다.

자누지 대표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오는 4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반둥회의에 참석한다면 중국을 경유하면서 시진핑 국가주석이나 리커창 총리와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또 김 제1비서가 5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할 가능성이 높고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도 북한과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큰 압박감을 느낄 것이란 지적입니다.

미국 터프츠(Tufts)대학의 이성윤 교수도 올해 김 제1비서가 적극적인 외교 활동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면서 자누지 대표의 의견에 동의했습니다.

이성윤 교수: 김정은이 활발한 국제외교를 펼치게 되면 북한 입장에서는 대미외교 측면에서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오바마 행정부도 금년 하반기부터는 더 적극적인 대북대화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성윤 교수는 이번 성 김 대표와 북한 관리의 접촉이 불발됐음에도 불구하고 미북대화의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다면서 미국은 대북제재를 하면서도 북한과 협상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자누지 대표는 성 김 대표가 미국의 대북제재와 압박 국면에서도 북한 관리와 만나려고 시도한 배경은 북한과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 동맹국 한국, 일본과 보조를 맞춘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이 이번에도 대미 접촉 기회를 놓친 근본 배경은 미국이 포기하길 원하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북한 입장에선 너무 소중한 자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비핵화 진정성이 담보돼야 북한과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미국의 입장과 핵을 계속 보유해야겠다는 북한 측 입장이 여전히 첨예하게 대치한 상황이란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