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이 최대한의 압박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가 유일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야 한다는 한미 양국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북 핵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지속할 것이라는 방침도 거듭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부는 20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엔 총회 연설에서 북한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완전한 파괴를 언급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북 핵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또 최대한의 압박을 통해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만이 유일한 길이라는 점을 깨닫게 해야 한다는 한미 양국의 공동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19일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을 불량국가로 규정하고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만 한다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북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는 방침을 거듭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현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2375호의 신속한 이행 절차에 착수한 상태입니다.
통일부 백태현 대변인 :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보다 강력한 안보리 결의가 이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정부도 거기에 적극 동참을 하고 있습니다.
또 대북 독자제재의 경우 안보리 결의 이행 상황을 지켜보며 유관부처와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화성-12형’을 2차 시험 발사한 지난 7월 말 한국 정부 차원의 독자적 대북제재 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 취약계층 지원의 경우 남북관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 시기 등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