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참가 속에 평창 동계올림픽을 평화 올림픽으로 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올림픽 기간 한미 연합훈련을 중단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한미훈련 중단 문제를 논의한 바 없다며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 한미 군사훈련 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한국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한국 정부는 이를 부인했습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3일 오전 "일부 언론에서 보도한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한미 군사훈련 중단 문제는 지금까지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습니다.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도 올림픽 기간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과거 한국에서 열린 대규모 국제 체육행사 때 연합훈련이 중단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 때는 한미연합훈련 기간과 겹쳐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유엔 휴전결의안은 적대행위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데 한미연합훈련이 적대행위냐'는 질문에는 "한미연합훈련은 방어적 차원의 군사훈련이며 적대행위라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선 지난 14일 유엔 총회에서 평창올림픽 휴전 결의안이 채택된 만큼 한국 정부가 이를 준수한다는 차원에서 정책 변화의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김경석 세계평화교류연구소 이사장: 아주 중요한 올림픽이잖아요. 북한을 참가시킨다는 의미에서 저희는 한미연합훈련을 연기하는 방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연합훈련 중단은 미국의 동의 없이 불가능한 만큼 한국 정부의 의지만으로 결정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아직 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공식 입장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북한이 올림픽 피겨종목에서 출전권을 딴 상황이라 올림픽 참가에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지만 아직 알려드릴 만한 상황은 없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