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용사 출신 미 의원 16명, 대북 무력사용 위험 경고

0:00 / 0:00

앵커 : 미국 의회의 참전용사 출신 상하원 의원 16명이 대북 무력사용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북한 핵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북한 핵무기를 제거하는 유일한 방안이 엄청난 희생자가 발생하는, 북한에 대한 지상 공격이라는 미군 지휘부의 답변에 대한 반응 차원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핵무기를 파괴할 유일한 방안은 지상공격 뿐이라고 미군 지휘부가 실토했습니다.

6일 테드 리우(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실에 따르면 미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7일 작성된 서한을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 핵무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해서는 지상군 투입 등을 통한 지상전이 필수로 북한과 전면전이 불가피하다는 의미입니다.

리우 의원이 제기한 대북 군사적 공격 가능성에 관한 질의에 대한 답신 성격의 이 서한에서 합참은 북한의 화학∙생물무기 사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 지휘부가 북한 핵문제의 군사적 해결을 위해선 큰 인명피해가 불가피한 지상전이 유일한 방안이라고 밝히자 의원들은 재차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리우 의원 등 참전용사 출신 상하원 의원 16명은 즉각 성명을 내 매우 충격적이라며 북한과 관련해 좋은 군사적 해결 방안은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공화당 소속 월터 존스(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이 동참한 초당적 성명은 전쟁 발발 며칠만에 수십만 또는 수백만 명의 희생자가 생겨날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북한과 지상전이 쉽게 끝나지 않고 이어질 거라며 미군과 동맹국에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어 대북 군사적 공격이 한반도를 넘어 확대되는 걸 막을 구체적 계획이 마련돼 있지 않고 전쟁 이후 상황을 관리할 방안 역시 준비가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의원들은 따라서 북한에 대한 지상 침공을 검토하기에 앞서 모든 가능한 다른 방안을 추구해야 한다며 북한 핵문제의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습니다.

리우 의원은 앞서 지난달 워싱턴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도 대북 군사행동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테드 리우 : 저는 군인 출신으로 기본적으로 전쟁에 반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엄청난 인명피해를 수반하는 '우둔한 전쟁'은 결단코 반대합니다.

미국 의회에서는 최근 의회의 사전 승인없는 대북 선제공격을 금지하는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는 등 미북 간 군사적 충돌 위험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