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사사여행자 중국 방문 여전”

중국 랴오닝성 단둥 압록강대교를 통해 중국으로 들어오는 열차에서 승객들이 창문 밖을 휴대전화로 촬영하고 있다.
중국 랴오닝성 단둥 압록강대교를 통해 중국으로 들어오는 열차에서 승객들이 창문 밖을 휴대전화로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유엔제재가 실시되는 요즘에도 북한당국이 사사여행자(개인용무여행)들의 중국방문을 허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신 남한 사람을 절대 접촉하지 말라고 교육을 엄격히 시킨다고 합니다.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로 북중관계가 악화될 거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의 친척방문은 계속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함경북도의 50대의 북한주민은 “현재 중국방문 수속을 밟고 있는 사람들의 접수가 중단됐다는 얘기를 듣지 못했다”면서 “핵실험을 한 1월과 로켓(미사일)을 쏜 2월에도 수십 명의 여행자가 중국으로 갔다”고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주민은 “중국 친척방문 기간은 3달 인데, 기한이 된 한 사람은 곧 귀국하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현재 당국에서는 미국과 남한이 공화국(북한)을 압살시키기 위해 전쟁을 일으킨다고 하지만, 전쟁할 것 같으면 왜 친척방문을 허용하겠는가”고 정세 긴장설을 일축했습니다.

중국은 대북유엔제재 결의안 초안작성시에도 민생에 타격을 줄 수 있는 해외인력 수출이나 원유금수 조치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보인 만큼 친척방문 수준의 왕래는 허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중국 길림성에 친척방문 왔다는 한 북한 주민도 “당국이 친척방문을 허용해주고 있지만, 한국 기독교 선교사였던 ‘김정욱 간첩사건’ 이후로는 사사여행자에 대한 교육을 대폭 강화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그는 “사사여행자들이 중국에 나오기 전에 한 달 동안 집중 강습을 받는데, 거기서 중국 나가서 절대 남조선 사람들을 만나지 말라는 교육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북한 보위부 당국은 사사여행자들을 파견할 때 한국교회를 찾아가 현지 실태를 알아오라는 과제도 주었는데, 지금은 “남조선사람을 절대 만나지 말라”는 수칙으로 바뀌었다는 게 소식통의 해명입니다.

북한은 중국 방문자에 한해 3달 동안 체류하도록 허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여행자들은 돈을 더 벌기 위해 제 날짜에 귀국하지 않는다고 이 주민은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