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 가능할까?

0:00 / 0:00

앵커 : 2018 강원도 평창동계올림픽이 3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근 북한이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를 통해 올림픽 분산 개최를 제안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현재로선 분산 개최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긋고 있는데요. 그러나 향후 남북관계에 따라 얼마든지 회담의 의제로 삼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전 세계인의 겨울 축제인 동계올림픽이 오는 2018년 한국의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됩니다. 세 번의 도전 끝에 어렵게 올림픽을 유치한 강원도는 지금 경기장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 올림픽 개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분산 개최도 승인한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의 일부 종목을 일본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와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는 “국민 정서상 일본과 분산 개최는 있을 수 없다”며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의 분산 개최 방안은 권고사항인 만큼 최종 결정권은 개최국인 한국에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 세번 만에 어렵게 유치한 대회이고, 각 경기장 공사가 이미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분산개최 논의는 의미가 없는 만큼 관계부처는 IOC에 분명한 설득논리로 대응하기를 바랍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을 대변하는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평창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조선신보는 지난 12일 ‘올림픽 공동주최’라는 제목의 글에서 평창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신문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부터 적용되는 국제올림픽위원회의 분산 개최 결정이 올림픽 개최의 재정적 부담 때문”이라며 “그렇다면 이 기회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마식령스키장을 이용하면 어떤가”라고 밝혔습니다.

신문은 “같은 민족끼리 공동 주최하면 비용도 덜 들게 되고 민족의 화해와 공동번영, 지역의 평화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며 공동 개최의 타당성을 설명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아직 평창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에 관해 침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을 대변하는 조선신보가 이번에 이 같은 제안을 한 것은 북한 당국의 의중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우선 체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거죠. 북한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원하고 있다는 것을 세계에 과시할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손해를 볼 게 없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게다가 올림픽 분산 개최를 통해 외화를 벌 기회도 생기고요.

평창동계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와 관련해 남측에선 반대의 의견이 많습니다. 북측의 호전적인 태도와 핵실험 의지가 있는 한 남북 화해 차원의 분산 개최는 의미가 없다는 겁니다.

남측 정부도 북측 당국이 아직까지 공식 제안한 바가 없기 때문에 남북 공동 개최안에 대해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선 북측이 추후 공식 제안해올 수 있는 만큼 향후 남북관계에 따라 앞으로 회담의 의제로 삼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