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북 WMD 확산 주시”

0:00 / 0:00

앵커: 오스트리아가 대량살상무기(WMD) 제조용 기술 획득과 관련된 북한과 이란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오스트리아의 연방 국가보안∙반테러국(Federal Agency for State Protection and Counter-terrorism)은 10일 발간한 2012년 활동 보고서에서 지난해 북한과 이란이 관련된 대량살상무기 확산이 의심되는 구체적인 사건들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There were specific cases of suspected proliferation in connection with North Korea and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그러면서 대량살상무기 확산 측면에서 북한과 이란의 움직임을 특히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국가보안∙반테러국 측은 이날 보고서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서도 2012년 대량살상무기 확산이 의심되는 총 24건의 사건이 있었다면서 그 중에서 북한과 이란의 연계 가능성을 유의하면서 현재 6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국가보안∙반테러국 측은 또 대량살상무기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이중용도(dual-use) 기술을 다루는 오스트리아 기업들이 북한이나 이란 당국을 대신한 위장회사(front companies)와 거래하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 4월 미국 일간지 워싱턴타임스(WT)는 미국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북한의 김정은 일가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등 유럽에 최소 10억 달러가 예치된 비밀 은행 계좌들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이를 봉쇄하는 것이 북한의 핵 개발을 중단시킬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