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논 검출, 북핵실험 아니다" 결론

0:00 / 0:00

MC: 핵실험을 하고 나면 검출되는 방사능 물질로 알려진 '제논'이 지난달 중순 강원도 고성에서 검출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을 한 건 아닌 걸로 결론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방사능 물질인 제논(Xe-135)이 검출된 건 지난달 14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관리하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 측정소에서 평소보다 8배가량 높은 농도의 제논이 검출됐습니다.

제논이나 크립톤(Kr-85)은 기체 상태의 방사능 물질입니다. 자연 상태에서는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통상 핵실험의 증거로 여겨집니다.

제논이 검출되기 이틀 전에는 북한이 "자체 기술로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일부 언론들은 '북한이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이 아니라, 이번엔 핵융합에 의한 수소 폭탄을 제조하는 실험을 한 게 아니냐'는 추정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21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한 김태영 국방장관은 "깊은 관심을 가지고 추적하고 있다"면서도 제논의 검출과 관련한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김태영

: 지금 그런 추론이 신문에 나왔습니다만, 저희가 지금 판단하기로는 핵실험이라는 건 정확한 게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도 “제논이 검출된 건 사실이지만, 여러 가지 정황상 북한의 핵실험일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유는 “지진파가 관측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이번에 검출된 제논은 다른 이유 때문에 검출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지난달 강원도 고성에서 검출된 제논은 중국이나 남측에서 불어온 것일 수도 있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제논은 핵실험에서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에서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지난달 12일 노동신문을 통해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이에 대해 한국과 미국 등은 “믿기 어렵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