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영변 핵시설의 원자로가 재가동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 가운데 미국은 만일 사실이라면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유엔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마리 하프 부대변인은 1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영변의 원자로를 재가동하고 있다면 이는 북한이 비핵화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마리 하프 부대변인: 북한의 영변 원자로 재가동이 만일 사실이라면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 위반이며 2005년 9.19공동성명의 북한 측 약속에도 위배됩니다.
하프 부대변인은 하지만 정보사항이란 이유로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 여부를 확인해 줄 순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한중일 3국 순방에 나서고 있는 미국의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12일 일본에서 기자들과 만나 만일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이 사실이라면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very serious matter)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은 실수(misstep)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들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러시아의 인테르팍스 통신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특히 노후한 원자로 가동에 따른 방사능 누출 등 사고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1950년대 설계된 북한의 원자로는 끔찍한(nightmarish) 상태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도 1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이미 영변 원자로를 재가동하고 있을 것이라는 보도 내용에 중국 정부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안정은 중국의 일관된 주장으로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관련국들이 동북아시아의 장기적인 평화를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측도 12일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 가능성과 관련해 위성사진 분석 등을 통한 북한의 핵 활동 감시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은 영변에 사찰 요원이 상주하고 있지 않아 확실한 상황을 파악할 순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일각에서는 북한의 원자로 재가동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북핵 폐기를 목적으로 하는 6자회담 재개는 더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반면 영변 원자로 등 핵시설의 본격적인 가동을 통해 북한의 핵 능력 증가세가 뚜렷해질 경우 오히려 북한과의 핵 협상 필요성이 더 크게 대두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