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미국과 한국의 대북 선제공격은 중국 측과 협의 없인 불가능하다고 중국 전문가가 주장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중국 칭화대 출신으로 현재 미국 콜럼비아대학에서 교환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쑨저 교수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중국 측의 동의없이는 미국이나 한국이 대북 선제공격에 나설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대통령 선거와 정권 교체기에 있는 미국은 그럴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쑨저 교수 : 중국과 협의 없이 대북 공격에 나설 수 없습니다. 미국은 그럴 준비가 돼 있지 않습니다. 특히 다음달 대통령 선거 후 새 행정부가 들어서서 정책을 가다듬기까지 최소 몇 개월 동안 미국은 대북정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것으로 봅니다.
쑨 교수는 최근 중국 내부 일각에서도 북핵시설 타격이나 김정은 제거, 정권 교체 관련 언급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북한 체제의 안정을 지지하는 논의가 더 일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쑨 교수는 이어 중국 당국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해 새로운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을 마련하는 것에는 찬성하지만 여전히 북한의 민생을 해치는 제재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규모 한미합동군사훈련이나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 등에 반대하고 있고 북한과 대화를 통해 최소한의 정권 안보를 약속해줘야 한다는 게 중국 측 입장이라는 설명입니다.
이런 가운데 실제 중국의 류제이 유엔주재 대사는 지난 주말 로이터통신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논의 중인 새 대북 제재안이 북한 주민들의 복지와 인도주의적 필요에 악영향을 줘선 곤란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겅솽 대변인도 11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중국은 북한 핵개발 계획에 직접 관련이 있는 제재만을 지지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엔 안보리의 추가 대북제재가 북한 민생을 해쳐선 곤란하고 북한 비핵화 목표 실현과 한반도 평화안정 유지에 도움이 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로이터통신은 미국이 이른바 ‘민생용’ 석탄 수출을 통한 북한의 핵개발 자금 획득을 유엔 제재를 통해 막고자 하지만 중국 측이 이에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