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지난달 서해에서 남하한 북한 주민들 중 4명이 “귀순 의사”를 밝혔습니다. 나머지 27명은 남하 27일만인 4일 북한으로 송환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오해할 소지가 있다”면서 남북관계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5일 한국의 연평도 인근 해상으로 월선한 북한 주민 31명 가운데 4명이 “귀순 의사”를 밝혔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들 4명을 제외한 27명과 선박을 송환하겠다는 대북 통지문을 북측 적십자로 보냈다고 3일 밝혔습니다.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귀순 의사를 밝힌 북측 주민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한국에 남겠다는 4명은 막판에 생각을 바꾼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하지만 북측 입장에서 봤을 땐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게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의 지적입니다.
양무진:
한미 키 리졸브 훈련으로 인해 한반도의 긴장이 그 어느 때보다 높고, 특히 남북 당국 간 불신의 골이 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건(4명의 귀순의사) 북한이 오해할 소지가 있다는 측면에서, 남북 관계의 경색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북으로 돌아갈 북한 주민 27명은 4일 판문점을 통해 송환할 예정이며, 선박도 같은 날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인계할 예정이라고 대한적십자사는 밝혔습니다.
북한 주민 31명이 남측으로 월선한 건 지난 5일이지만, 언론에 알려진 건 7일입니다. 당시 정부 소식통은 “황해도 남포에서 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의 고기잡이 어선이 연평도로 넘어와 군 당국이 예인 조치했다”며 “어선에는 남자 11명과 여자 20명이 타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남측의 정보 당국은 이들의 집단 월남이 단순 표류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자발적인 탈북인지를 조사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지난달 8일 판문점 적십자 통로를 통해 이들 주민 31명과 선박의 송환을 요구했고, 한국 정부는 다음날 관계기관이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조사 결과와 본인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북측에 통지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2009년 울릉도를 통해 넘어온 북한 주민 4명 가운데 1명만 송환되고 나머지 3명은 귀순한 바 있습니다. 2005년 9월에도 연평도 해상을 통해 내려온 2명 가운데 1명은 귀순하고 1명만 송환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