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최근 북한이 2012년 강성대국 건설과 관련해 새로운 정책결정을 시사하는 지시문을 전체 당원들과 간부들에게 침투(하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처한 강성대국 건설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조국통일 부분이 각인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북한이 당면한 정세와 관련한 정책 변화 의도를 담은 중앙당 지시문을 전체 당원들과 간부들에게 하달했다고 북한 내부 사정에 밝은 한 대북소식통이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소식통은 “지난 7월 말 경, 강성대국 건설과 관련해 북한이 현재 처한 대내외 정세와 관련한 대책 문제를 다룬 노동당 중앙위원회 지시문을 각 도당을 거쳐 전국의 시, 군당에 하달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지시문에는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제끼기 위한 우리 당과 인민의 힘찬 노력투쟁과 건설사업이 미제와 남조선 괴뢰들의 엄중한 도전에 부닥쳤다”면서 “우리가 조국통일을 하지 않고서는 강성대국 건설도, 사회주의 승리도 이룩할 수 없다”고 강조되었습니다.
지시문에는 또한 “미국과 남조선은 강성대국의 암적인 존재, 암초와 같은 장애물”이라고 지적하고, “전당, 전민이 총동원되어 수령님(김일성)의 유훈인 조국통일을 앞당겨 수행하는 것이 강성대국 건설의 선결 조건”이라고 언급해 강성대국 보다는 조국 통일이 먼저라는 점이 새삼 강조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지시문은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전략과 전술을 장군님(김정일)의 뒤를 이을 ‘청년대장’이 구상하고 있다”면서 “전체 당원들과 근로자들은 백두에서 시작된 혁명전통을 이어가기 위해서 ‘청년대장’의 뒤를 따라 힘차게 나아가야 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한편 중앙당 지시문이 내려간 다음, 각 도당에서는 산하 시, 군당에 연사들을 파견해 간부 정세강연에서 이 내용을 지방의 간부들에게 침투했다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간부 정세강연은 매주 토요일마다 각 시, 군당에서 지방의 공장·기업소의 지배인, 당비서들을 모아놓고 진행하는 회의로, 북한은 중앙의 지시를 지방에 전달하는 주요창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강연에서도 ‘2012년까지 강성대국이 건설된다’던 북한의 강성대국 논리가 등장하지 않았고, “오직 통일, 미제와 남조선 괴뢰도당을 쓸어버리지 않고서는 강성대국도 없다”고 못 박았다고 강연에 참가했던 한 간부의 말을 인용해 이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이 정세강연에서는 계속하여 “남조선 괴뢰들이 있지도 않는 ‘천안’호 사건을 꺼내들고 강성대국을 건설하려는 우리의 앞길을 악랄하게 가로막고 있다”면서 “북남관계 개선도 더 이상 바랄 수 없게 되었다”고 주장해 듣는 사람들은 “(북한 당국이)앞으로 평화적인 남북관계 개선을 포기한 것으로 느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강연회는 시종 진지함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일부 간부들은 회의가 끝난 다음 “그러면 전쟁이라도 해서 남조선을 밀고 내려가려는가?”며 청년대장이 가지고 있다는 ‘대책’이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눈치였다고 소식통은 당시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한 대북전문가는 “과거 북한이 ‘2012년까지 강성대국을 건설하겠다’고 장담해오다가 최근 천안함 사건 등으로 대내외 조건이 불리해지자, 강성대국이 어려울 것 같아 한발 뺀 것 같다”며 “오는 9월 당 대표자회를 통해 후계체제도 정비해야 되기 때문에 당 정비차원에서 이러한 지시문을 지방에 내려 보낸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