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해외에 파견되는 재외공관원이나, 무역대표부 주재원들에게 가족과 함께 외국에 거주할 수 있도록 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은 후계세습 과정에 이례적인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습니다. 최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해외에 주재하는 북한 공관원들의 해외체류 규정이 일부 완화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과 가진 전자우편 연락에서 "외국에 파견되는 북한 외무성 산하 대사관, 영사관 직원들이 이전엔 가족들과 함께 나오지 못했지만, 요즘엔 아들, 딸 등을 데리고 나온다"면서 달라진 북한의 재외 공관원 체류 원칙에 대해 밝혔습니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 등 북한과 우호관계에 있는 나라 주재원들은 이미 처와 자녀를 다 데리고 나온 지 꽤 됐다"면서 "요즘은 유럽 국가들이나 동남아 등에 거주하는 재외 공관원들에게도 이런 조치가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과거 대사관, 무역대표부, 국제기구들에 파견된 고위층 인사들의 망명을 막기 위해 가족 중 일부 자녀나 직계 친척들을 평양에 남겨두고 출국하도록 조치해왔습니다.
이들을 인질형식으로 붙들어 두고 해외에 파견된 북한 인사들의 망명을 막아보기 위한 고육책이었다고 한 고위층 탈북자는 말했습니다.
북한이 이렇게 해외 주재원 체류 원칙을 완화한 것은 최근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달라진 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또 다른 대북 무역업자는 "요즘 외국주재 북한 영사관이나 무역 대표부에서 일하는 실무진들은 거의 30~40대로 바뀌고 있다"면서 "이들은 김정은의 신임을 받고 있어 망명 우려가 없는 사람들"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재외공관에도 김정은의 신임을 받고 있는 '충성분자'들로 채워지기 시작했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북한의 이러한 특혜 조치는 북한 특권층 자녀들에게 세계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제3국에서 북한 고위층들과 자주 접촉하고 있는 한 대북관련 업자는 "해외에 주재하고 있는 북한 특권층 자녀들과 유학생들이 페이스북(facebook)이나, 트위터(twitter) 등 소셜네트워킹, 즉 세계적인 온라인 대화방에 접속해 세계 문명을 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싱가포르, 독일 등 세계 각 곳에 나간 북한 고위층 자녀들은 자기 친구들끼리 메신저, 즉 빠른 대화문자 나누기에 참가하거나, 전자우편으로 자기들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 재외공관원 자녀들은 한국 노래나 한국 드라마, 한국의 패션 감각 등을 그대로 모방하면서 한국문화에 깊이 빠져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소식통은 "트위터에 접속한 북한 고위층 자녀들은 '졸라 힘들다'느니, '밥 묵었나?' 등 한국의 경상도나 전라도 사투리까지 흉내 내면서 한국문화에 심취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북,해외주재원 가족동반 체류 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