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5일 발간한 '2012년 외교백서'에서 한국 정부가 지난해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동포애적 차원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발간한 외교백서에서 2011년 한국 정부는 유엔아동기금 등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의 영유아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약 565만 달러어치의 대북지원에 나섰고 1천660만 달러에 달하는 민간차원의 대북지원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백서는 또 한국 정부는 북한 인권문제에 깊은 우려를 갖고 북한 주민의 인권 상황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유엔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안과 12월 유엔 총회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당시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고 백서는 소개했습니다.
외교백서는 또 지난해 12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한반도 정세의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과 긴밀한 외교적 협의를 통해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백서는 이어 2011년에는 북한의 핵실험이나 대남 도발이 없었고, 남북 간 비핵화 회담도 두 차례 개최되는 등 한국 정부의 일관된 정책이 일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습니다.
외교백서는 또 지난해에 이어 2012년에도 한미일 3국의 굳건한 공조 속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도 확보해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필요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사전조치 이행 등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비핵화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면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란 설명입니다.
한편 외교백서는 북한이 2011년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외견상 비교적 큰 혼란 없이 김정은으로의 3대 세습체제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2010년 9월 북한의 당대표자회를 통해 후계자로 내정된 김정은이 김정일 위원장 사망 직후 ‘최고 영도자’ 또 ‘최고 사령관’으로 추대되는 등 원만한 권력 이양 모습을 보였다는 설명입니다.
외교백서는 또 북한이 지난해 인민생활의 향상을 위해 식량문제 해결, 기초공업부문 생산력 강화, 평양시 10만 세대 주택건설 사업 등을 추진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