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스위스 정부는 최근 북한 저소득층과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미화 약 10만 달러를 지원하는 등 올해 대북지원에 950만 달러를 집행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스위스 정부가 최근 북한의 경제회복과 사회기반시설 지원 분야에 미화 약 10만 달러를 추가 지원했다고 국제사회의 인도주의 지원금 현황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밝혔습니다.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 기부금의 흐름을 집계하는 ‘재정확인서비스(FTS)’ 사이트에 따르면, 스위스 정부는 지난 10월 북한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액대출에 10만 3천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지난 6월 같은 분야에 약1만 2천500달러, 그리고 지난 2월 산간농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10만 9천여 달러 등 스위스 정부가 올해 북한의 ‘경제회복과 기반시설’ 분야에 지원한 금액은 약 22만4천 달러로 입니다.
스위스의 올해 대북지원 총액인 950만 달러의 2.4%입니다.
스위스는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에 약 600만 달러를 기부하며 전체 대북 지원금의 63%를 식량지원 분야에 집중했습니다.
이밖에 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북도 등 5개 도의 농촌 지역에 수도관과 정수 시설을 설치하는 상하수도 지원 분야에 약 200만 달러를 지원했고, 유럽의 민간연구소인 농업생명과학센터(CABI)에 약 16만 달러, 산간농법기술 지원에 약 110만 달러 등 농업 기술 분야에 126만여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스위스 정부의 지원으로 북한에서 산간농법지원 사업을 진행 중인 농업생명과학센터 관계자는 경사지를 활용한 경작이 북한에서 이미 실용적인 농사법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평지에서도 토지침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산간농업’을 황해북도를 비롯한 시범사업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다면서 급경사지를 농토로 활용하면 산간지역 주민들의 형편이 나아질 뿐만 아니라 산림 황폐화도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