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일본인 유족에 첫 묘 참배 허용

0:00 / 0:00

앵커: 북한이 일본의 2차 대전 패전 후 처음으로 일본인 유족 16명의 입국을 받아들여 가족들의 묘에 참배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본인 성묘단 16명이 일본의 패전 후 처음으로 북한에 들어가 가족들의

묘에 참배했습니다.

지난달 29일 평양에 도착한 일본인 성묘단은 30일 북한 외무성 관계자의 안내로 과거 일본인 거주지를 둘러봤고, 일본인 유골 매장지인 평양의 용산 묘지를 방문해 참배했습니다.

북한은 일본 성묘단의 이번 방북에 일본 언론의 동행 취재를 허용했습니다.

일본의 NHK 방송에 따르면 일본인 성묘단은 1일 평양 근교로 이전된 일본인 유골 집단 매장지를 방문해 참배했습니다.

일본의 패전 후 병이나 기아로 북한에서 사망한 일본인은 모두 3만5천 명 에 달하며, 그 중 1만3천 명의 유골이 일본으로 송환됐습니다.

일본 적십자사는 평양의 용산 묘지를 비롯한 북한 전역에 일본인 유골 약 2만 개 이상이 산재해 있다고 보고, 북한과 유골 반환 협상을 벌여 왔습니다.

북한은 일본 적십자사의 요청을 받아들여 지난 8월 양국 적십자사 회담에 응한데 이어, 북한 외무성도 지난 8월말 중국 베이징에서 일본과 4년만에 양국 정부간 협의를 개최했습니다.

북일 양국은 이 회담에서 빠른시일 내에 국장급 본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으나, 본 회담의 의제에 일본인 납치 문제를 포함할 것인가 여부를 둘러싸고 북일 양국의 의견이 엇갈려 본 회담 개최가 늦춰지고 있습니다.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의 김정은 체제가 일본인 유골 반환 문제와 가족들의 성묘 문제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는 명백한 증거라고 말하면서, 일본 정국의 추이를 지켜 보면서 협상 속도를 조절해 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노다 정권은 소비세 인상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조건으로 중의원 총선거를 조기에 실시하기로 약속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늦어도 11월 중으로 중의원 총선거가 실시될 전망인데, 문제는 민주당의 노다 정권이 중의원 총선거에서 패배해 자민당에게 다시 정권을 넘겨 줄 가능성이 높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도 일본 정국의 추이를 예의 주시하면서 국장급 본 회담의 개최 날짜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일본의 중의원 총선거 이후로 회담 일정이 미루어 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본의 노다 총리는 1일 내각을 개편하여 납치문제담당 대신 겸 법무상에 다나카 게이슈(74) 중의원 의원을 기용했습니다.

일본 언론은 다나카 신임 대신이 일본인 납치문제에 별로 관여한 적이 없어 납치피해자 가족들의 큰 반발이 예상된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