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노동자의 중국 파견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중국의 최대 북중 교역 도시의 고위 관리가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다이유린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서기가 북한 노동자를 더 많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경제망이 최근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대표적 경제전문매체인 경제망에 따르면 다이 서기는 지난달 말 이 매체와 회견에서 북중 교역의 ‘대통로’ 역할을 하는 단둥이 현재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북한이 올해 들어 외화벌이 차원에서 노동자들을 대량으로 중국으로 내보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북한 노동자의 중국 파견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커 주목됩니다.
이 매체는 현재 단둥 지역이 투자를 유치하는 데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숙련된 노동력 부족이라며 중앙정부가 북한 노동자 파견 확대를 승인해주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한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단둥 지역이 최소 10만 명에서 최대 20만 명의 북한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이 같은 고용 확대를 통해 중국에 건너온 북한 노동자가 단둥 지역의 소비를 늘려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 근로자의 중국 파견 확대는 북중 양국의 이해가 일치하는 부분이어서 앞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 MIT대 존 박 연구원은 예상했습니다.
존 박 연구원: 지금은 마치 북한이 중국의 등에 올라 탄 채 경제개발에 나선 형국입니다. 앞으로 더 큰 규모의 북한 근로자 중국 파견이 이뤄져 김정은 정권을 위한 주요 자금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북한 노동자의 해외 파견이 늘면서 북한 당국이 외국에 내보낸 근로자들의 임금을 착취해온 관행에 대한 우려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북 인권단체들은 지난 3일 북한이 국제노동협약에 규정된 노동자 인권을 준수하도록 국제노동기구에 서한을 보내 개입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김지현 북한전략센터 연구원: 서한은 지난 11월29일에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과 법률위원회 앞으로 보냈습니다.
한편, 북한이 오는 10~22일 사이에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중국 정부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고 한국 언론이 3일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이 최근 활성화하고 있는 북중 간 경제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엿보이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