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대통령 선거가 2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북한의 선거 개입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시도가 남한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남북관계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의 대남 선거개입 시도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다. 올 초부터 북측은 반제민족민주전선, 즉 ‘반제민전’을 통해 남한 내 친북단체 등의 단결을 촉구하며 선거 개입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지난 17일에도 반제민전은 여당인 “새누리당의 재집권을 막아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기필코 제2의 6.25전쟁이 일어나게 된다”는 내용의 ‘격문’을 하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조선일보가 21일 보도했습니다.
반제민전뿐 아니라 북측의 언론매체들도 이번 대선을 계기로 남한의 “정권교체를 실현해야 한다”는 식의 보도를 연일 내놓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부는 이 같은 북측의 태도를 “내정간섭”이라고 규정합니다.
박수진 공보담당관: 북한이 지금 여러 방식으로 대선 개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우리가 말씀드린 것처럼 이것은 내정간섭에 해당하므로 즉각 중단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북측의 대선 개입 시도가 북측이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북한에 우호적인 몇몇 단체가 남한에 있다고는 하지만 이들이 남한 사회에서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2000년 제1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한 국민의 대다수가 남북관계 전문가가 되어 있기 때문에 북한이 선거에 개입하거나, 또는 선거 개입에 대해서 남측의 어느 진영이 이것을 이용할 경우, 국민으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북한 당국도 대남 선거개입 시도가 효과는 별로 없을 것이라는 점을 이미 알고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측이 남한 선거에 지속적으로 개입하려는 것은 “대남 사업을 하는 부서들이 선거철을 이용해 조직의 존재 가치를 내보이기 위함”이라고 북한미시연구소의 이우영 소장은 분석했습니다.
관성에 젖은 북한의 대남사업 부서들이 언론매체를 이용한 선거 개입으로도 모자라 이제는 효과도 의심스러운 ‘격문’까지 하달하고 있는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