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과 중국 간 무역 규모가 해마다 확대되는 가운데 북한의 대중 의존도가 70%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남북 간의 경제 교류가 급속히 줄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대(對)중국 무역의존도가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2 북한의 주요통계지표’를 보면 2011년 기준 북한의 중국과 교역액은 56억 2천900만 달러로 대외교역 비중이 70.1%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56.9%에서 13.2%나 증가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과의 교역 비중은 2009년 33%에서 2010년 31.4%, 지난해에는 21.3%로 계속 낮아져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중국이 지하자원 확보 차원에서 북한과의 교역을 늘려가고 있고요. 북한도 남북교역이 줄어들면서 외화벌이 차원에서 중국과의 교역을 늘려가는 이중적인 면이 있습니다.
남북한 대외무역 격차는 큰 차이가 났습니다. 남쪽은 1조 달러가 넘어선 반면 북쪽은 63억 달러로 남쪽의 무역규모가 북쪽의 171.4배에 달했습니다. 수출은 남쪽이 북쪽의 198.3배, 수입은 149.8배였습니다.
에네르기(에너지) 부문을 보면 지난해 원유도입량은 남쪽이 북쪽보다 241.3배나 많았습니다. 발전설비용량도 남쪽이 11.5배, 발전량은 23.5배였습니다.
사회간접자본의 남북한 차이는 여전했습니다. 도로의 총연장 길이는 남쪽이 북쪽의 4.1배, 항만하역능력과 선박보유 톤수는 각각 24.5배, 18배에 달했습니다.
조강 생산량도 남쪽이 북쪽보다 55.9배 많았습니다. 화학섬유는 59배의 차이를 보인 반면, 시멘트는 7.5배, 화학비료는 5.8배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한편, 지난해 남쪽 인구는 4천977만 9천 명, 북쪽은 2천430만 8천 명이었습니다. 남녀 기대수명은 북쪽이 65.1세와 71.9세, 남쪽은 77.5세와 84.4세로 남쪽 사람이 북쪽보다 약 12년을 더 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