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한 핵실험 전 한국 통보”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 계획을 미국으로부터 사전에 연락을 받지 못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데 대해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사전 통보를 받고 이를 즉시 한국 정부에 알렸다”고 밝혔습니다.

0:00 / 0:00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 관계자는 26일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하겠다는 의도(intention)를 지난 24일 통보해와 이를 한국 정부에 즉시(immediately) 알렸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당시 북한이 구체적인 시점을 언급하지 않은 채 핵실험을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국무부에 통보했다"며 "통보 시점은 핵실험 약 1시간 전"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한다는 의사는 한국 외에 일본, 중국, 러시아 정부에도 함께 통보됐다"고 이 국무부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국무부 관계자: On May 24 North Korea notified the Department of State of its intention to conduct a nuclear test without citing specific timing. They did so approximately one hour prior to the event. The United States immediately notified the governments of Japan, South Korea, China, and Russia.

미국 국무부가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기 1시간 전에 미리 미국에 통보했고 이를 한국 정부에 즉시 알렸다”고 하는 주장은 “북한이 핵실험 30분 전에 미국 측에 통보했지만 한국 정부는 이를 사전에 연락받지 못했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 내용과 배치됩니다.

앞서 유명환 한국 외교장관은 26일(한국 시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북한이 (핵실험) 30분 전에 뉴욕 실무채널을 통해 (핵실험 계획을) 미국 측에 통보했다”며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으로 생긴) 지진파를 감지해 오히려 미국에 통보했고, (그 후에) 미국으로부터 북한이 통보한 내용을 보고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를 포함해 한국 언론은 유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을 토대로 미국과 중국이 북한으로부터 핵실험을 한다는 사실을 사전에 통보를 받았지만 한국 정부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다는 이른바 ‘국제공조 부실’ 의혹이 일고 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국무부 관계자의 말이 사실이라면, 미북 간 뉴욕 채널의 미국 측 창구가 성 김 6자회담 수석 대표인 점을 고려할 때 성 김 대표가 북한의 사전 통보를 한국 측 6자회담 수석 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에게 바로 알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부무 관계자의 말대로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 계획을 미국으로부터 사전에 연락받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은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 2006년 10월9일 북한이 1차 핵실험을 단행할 당시 북한의 사전 통보를 받은 중국은 이를 주중 한국대사관을 통해 한국 정부에 알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