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북한 정권, 주민들 노예 만들어”

0:00 / 0:00

MC: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3일 유엔 연설에서 북한을 인권을 억압하는 전제주의 국가로 꼽으며 북한 정권이 주민들을 노예로 삼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23일 유엔 총회 연설에 나서 북한 정권은 주민들을 노예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 세계의 인권이 도전받고 있고 도처에서 폭정이 자행되고 있다면서 북한 정권이 주민을 노예로 삼는 것, 또 아프가니스탄의 무장단체 탈레반이 등교하는 어린 소녀를 살해하는 일, 그리고 아프리카 콩고의 무장단체가 성폭행을 일삼는 상황을 그 예로 꼽았습니다.

Obama:

Tyranny is still with us - whether it manifests itself in the Taliban killing girls who try to go to school, a North Korean regime that enslaves its own people, or armed groups in Congo-Kinshasa that use rape as a weapon of war.

오바마 대통령은 또 한반도에 공존하고 있는 남북한은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면서 한국은 역동적이고 개방된 자유로운 사회인 반면 북한은 갇히고 폐쇄된(imprisoned and closed) 사회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핵문제를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이란 핵문제와 관련해 이란과의 외교적 통로는 개방돼 있으며 그 문을 통해 들어올지 여부는 이란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연설을 마친 오바마 대통령은 곧바로 유엔 총회 참석 차 미국을 방문한 원자바오(온가보)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갖고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 등 미중 간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회담을 마친 후 오바마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나 북한 핵문제를 구체적으로 지목하진 않았지만 전 세계 다양한 안보 문제에 미국과 중국 두 나라 관계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미국과 중국 두 나라가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Obama:

We also, I think, have to work cooperatively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regional peace and stability, because the world look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S as a critical ingredient on a whole range of security issues around world.

한편 미국 국무부의 필립 크롤리 공보담당 차관보는 앞서 이날 열린 미국과 일본 외무장관 회담에서 북한 핵문제도 논의됐다면서 두 나라 장관은 북한 핵폐기를 위한 6자회담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북한이 2005년 9.19공동성명에 따라 비핵화에 나서는 등 건설적인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