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동계올림픽 공동개최 검토 안해"

0:00 / 0:00

MC:

한국의 통일부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북한과 공동 개최하는 방안과 관련해 ‘정부가 고려하거나 검토하는 것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북한과 공동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요구가 한국의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통일부가 13일 입장을 밝혔습니다. “동계 올림픽의 공동 개최 방안을 고려하거나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익명을 요구한 통일부 당국자는 “공동 개최를 하려면 방북 인원의 안전 문제부터 해결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날 발언은 북측 금강산 관광지구내 남측 재산권의 정리 문제와 관련해 남측의 민관합동협의단이 금강산을 방문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통일부의 이종주 부대변인은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 방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고 재산권 문제가 발생한 이유를 거론하며 답변을 대신했습니다.


이종주

: 이와 같은 재산권 문제가 불거진 배경에는 2008년 7월에 있었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이 있습니다. 정부로서는 현재 시점에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금강산을 비롯한 북한 지역을 방문하는 인원들의 안전 문제가 철저하게, 그리고 제도적으로 보장되는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날 통일부의 발언은 북측의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이 평창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안에 대한 질문에 “그렇게 되길 바란다”고 답한 직후 나왔습니다.

장 위원의 일본 입국 당시 발언으로 한국내에서는 ‘북한이 차려놓은 밥상에 숟가락만 올리려 한다’는 부정적 여론이 형성됐습니다.

이렇게 되자 장 위원은 “지금은 공동 개최니 분산 개최 같은 이야기를 할 때가 아니다”라면서 “앞서 한 말은 남북 간의 좋지 않은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데 중점을 둔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에 대한 논란은 한국의 야당인 민주당이 불씨를 당겼습니다.

민주당의 손학규 대표가 지난 11일 동계 올림픽을 북한과 공동 개최하는 방안을 “심각하고 진지하게” 검토하자고 제안한 겁니다.

하지만 유치 위원회 관계자들은 공동 개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위원회 김진선 특임대사입니다.

김진선

: 공동개최는 아예 올림픽 규정상 되지도 않고요. 일부 종목의 분산 개최 문제도 가이드라인 자체가 각 경기장을 1시간 이내 이동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하도록 돼있고요. 현실적으로 지금 남북관계를 생각하더라고 이게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공동 개최 방안에 대한 남한내 여론이 부정적입니다. 지난 9일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동계 올림픽 공동 개최에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73.3%였고, ‘찬성’은 18%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