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화가들의 회화작품 유입이 급증하자 중국 당국이 북한 그림 유통실태파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접경지역의 북한 그림전문 판매상들이 긴장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대표적인 수출 문화상품인 회화작품의 중국 내 유통이 급증하면서 그동안 이를 묵인해오던 중국 지방정부가 중국 내 북한 그림의 유통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 그림을 판매하는 전문상점들 속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북한그림 실태조사가 시작된 배경과 의도를 두고 설왕설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단둥시 당국은 그림 판매상들을 대상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북한 그림의 작품크기와 종류, 작가성명, 판매가격 등을 기록해서 시당국에 보고토록 하고 또 상점에 전시된 그림들에도 이런 내용을 적은 쪽지를 부착한 후 사진을 찍어 제출토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단둥의 그림전문 판매상인 왕모 씨는 “조선그림의 유입과 판매가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하자 그간 이를 묵인해오던 시 당국이 실태파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으로 조선 그림 거래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사전 준비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왕 씨는 그러면서 “조선그림이 중국으로 유입되고 판매되는 과정에서 세금 한푼 내지 않은 게 사실”이라면서 “최근 들어 조선그림 판매상점들이 갑자기 늘어나고 판매량도 급증하자 시당국에서 이를 방관할 수만은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풀이했습니다.
단둥의 한 주민은 “조선 그림 값은 몇 년 전만 해도 괜찮은 작품도 몇 백 위안이면 구입할 수 있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최소 4~5천 위안은 주어야 제대로 된 그림을 구입할 수 있다”면서 “사무실에 걸어둘 만큼 큰 그림이면 몇만 위안이 넘을 정도로 조선 그림 값이 올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규모가 큰 대북 무역회사들도 최근 북한 그림 전문상점을 개업할 정도로 조선 그림이 고가로 인기리에 거래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단둥의 그림 판매상들은 중국 당국의 이번 북한그림 실태파악이 그림 거래에 대한 세금 부과로 이어질 경우, 북한의 외화벌이 효자상품인 그림 거래가 위축되어 외화벌이 사업에 타격을 줄 수도 있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습니다.
북한당국은 과거 김정일 위원장이 “그림을 제값 받고 팔라”고 지시한 이후 무분별한 그림의 유출을 통제하는 한편 보위부 요원들을 중국에 파견해 허가 없이 유출된 그림과 화가들을 색출해 처벌한 바 있습니다. 당시 개인차원에서 그림을 그려 중국에서 판매한 상당수의 ‘만수대창작사’ 소속 화가들이 된서리를 맞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