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평창이 세 번의 도전 끝에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권을 따냈다는 소식은 이미 지난주에 알려 드렸지요. 그런데 이번 유치 활동에는 지난 두 번의 경우와는 다른 특징이 한 가지 있습니다. 예전과 달리 남북관계에 대한 언급을 거의 하지 않았다는 건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2010년과 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전 당시, 평창은 여러 가지 개최 당위성 중 하나로 남북관계의 진전을 내세웠습니다. 평창이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면 남북 간의 화해와 통일을 이루고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지난 두 번의 유치전과는 달리 남북관계와 관련한 언급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대신 평창은 ‘아시아 동계 체육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 같은 변화가 ‘평화의 확산’이라는 올림픽 이념의 포기를 뜻하는 건 아니라고 관계자들은 말합니다. 그보다는 “현실을 직시했기 때문에 이 같은 변화가 올 수 있었다”는 게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방재흥 부위원장의 설명입니다.
방재흥
: 지금 우리가 동계 올림픽을 유치한다고 해서 남북관계가 더 진전된다는 현실적인 보장이 없고, 어려움이 있다는 걸 우리가 서로 다 알고 있기 때문에, 굳이 이걸 실질적으로 표현하지 않은 거지요.
이에 덧붙여 방재흥 부위원장은 “평창이 올림픽을 통해 한반도 평화의 진전을 이루고 남북 분단의 비극을 극복하고자 한다는 점을 이미 과거 두 차례의 유치 노력을 통해 국제올림픽위원회에 충분히 설명한 것으로 본다”고 말합니다.
한편, 최근 한국 정치권에서 언급되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가능성과 관련해, 방재흥 부위원장은 “공동 개최를 하려면 유치 신청 단계에서부터 이를 전제했어야 한다”면서 “공동 개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개최지로 결정된 이후 현지 실정에 맞게 유치 계획을 다소 조정하는 사례는 있었지만, 유치 신청서에도 담지 않은 내용을 개최지 결정 이후 추진한 경우는 없다”는 겁니다.
다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북한과 함께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건 아니라고 방재흥 부위원장은 말합니다.
방재흥
: 북한이 한국과 단일팀으로 참여한다든지, 이게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다음으로 북한이 독립된 국가로서 한국의 동계 올림픽에 참여하는 방안, 이건 차선책이 되겠지요.
평창은 지난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의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1차 투표에서 총 95표 가운데 63표를 얻어 경쟁 후보도시인 도이췰란드, 즉 독일의 뮌헨과 프랑스의 안시를 압도적인 표차이로 따돌리고 개최지로 선정됐습니다 .
이로써 한국은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또 한 번 올림픽을 치르게 됐습니다. 아시아에서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1972년 일본의 삿포로 대회와 1998년 일본의 나가노 대회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이고, 나라로는 일본에 이어 한국이 두 번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