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정부 대북수해지원 배경 뭐냐"

0:00 / 0:00

MC:

미국 의회가 행정부의 대북 수해 지원에 관한 상세한 해명을 요구해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의회 휴회 기간 중 이례적으로 직접 의회를 방문해 이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하원이 최근 국무부와 국제개발처(USAID) 고위 관리를 의회로 불러 미국이 북한에 수해 복구 지원을 결정한 배경을 따져 물었다고 의회 소식통이 2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미국 의회 소식통은 현재 미국 행정부 내에서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을 사실상 총괄하고 있는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존 브라우스 국제개발처 부처장보가 지난달 31일 의회에서 대북 수해지원에 관해 브리핑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날 의회 브리핑은 국무부가 지난달 18일 북한의 수해 복구를 위한 미화 90만 달러 상당의 긴급 지원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의회가 그 배경과 필요성 등에 관해 해명을 요구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의회 휴회 기간 중 이례적으로 열린 이날 브리핑에는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전문위원 5~6명이 참석했으며 1시간 가까이 비공개로 진행돼 자세한 내용이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날 브리핑에서 의회 관계자들은 국무부가 북한의 수해 복구를 위한 긴급 지원을 결정한 배경을 집중 추궁했고 킹 특사와 브라우스 부처장보는 이번 결정이 철저히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의회 관계자들은 특히 국무부 측이 지난 달 대북 수해지원 방침을 공식 발표할 때까지 의회에 아무런 사전 협의나 통보가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의회 주변에서는 이번 사건이 의회 내 뿌리 깊은 북한에 대한 반감이 표출된 사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무부가 현 시점에서 북한의 수해 복구를 위해 긴급 구호품을 지원하겠다고 나선데 대한 의회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라는 겁니다.

미국 의회 소식통은 의회내 대북 반감이 커 북한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의회의 지지를 얻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5개 비정부기구들은 대북 수해지원품 90톤을 2일 북한으로 긴급 공수한다고 1일 오후 전격 발표했습니다.

국무부가 이번 대북 수해지원과 관련해 의회에서 브리핑을 마친 뒤 바로 다음날 구호품 긴급 공수 계획이 공식 발표된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