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여름 북한은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사망하거나 부상, 그리고 행방불명된 주민이 수백명에 달하고 있는데요. 북한 당국은 최근 주민 총동원령을 내리고 10월 10일까지 수해 복구를 완료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소식,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이 지난달 초부터 최근까지 보도한 수해 집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에서 7월 말 사이 폭우로 사망한 북한 주민은 총 170여 명이고 부상은 150명, 실종은 400여 명에 달합니다.
게다가 지난달 북한을 관통한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추가 피해가 발생하면서 인명 피해는 이보다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일부에선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 같은 인명 피해에도 북한은 장비 부족 등으로 수해 복구 진척이 더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최근 북한 당국은 총동원령을 내려 전 주민을 수해 복구에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 우리의 장관에 해당하는 상을 제외하고는 모든 주민이 수해복구 현장으로 나갈 것을 지시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당 창건 기념일인) 10월 10일까지 수해 복구를 완료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는 겁니다.
북한은 또 수해 복구를 위해 외국인 관광객의 평양 방문을 당분간 자제토록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청천강과 대동강 등이 범람하면서 평양 하수도관이 유실 또는 파손돼 도시 기능이 마비됐기 때문입니다.
김규철: 만약 남측이 식량 중심으로 수해 지원을 하면 북측은 추가로 도시 복구에 필요한 상하수도관과 철근, 시멘트 등 자재라든가 관련 장비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북한은 10일 오전 판문점 적십자 통로(채널)를 통해 남측 정부의 수해지원을 받겠다면서 지원 품목과 수량을 알려달라고 통보해왔습니다.
남측 정부는 북측의 의사를 파악한 뒤 지원 물품을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라면과 밀가루 등 식량 위주로 지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수해 지원의 품목을 둘러싸고 남북이 또다시 대결 국면으로 빠져들 것이란 우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