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정부는 남북 적십자회담을 갖자는 북측의 제의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내용의 대북 전통문을 북측에 발송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날 군사 실무회담이 사실상 결렬됐기 때문에 적십자 회담이 성사될지 여부는 현재로선 불투명해졌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통일부가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9일 오전 북측에 보낸 전통문은 북측의 제안에 답변하는 형식을 갖췄습니다.
북측은 적십자 회담을 열자고 지난 1월10일과 2월1일 두 차례에 걸쳐 남측에 제의한 바 있습니다.
북측의 제안에 남측이 이날 호응하긴 했지만, 북측의 요구를 모두 받아들인 건 아닙니다. 통일부 이종주 부대변인입니다.
이종주:
오늘 우리가 보낸 전통문은 적십자회담을 개최한다는 전통문이 아니라, 적십자회담을 개최하자는 북측의 제의에 대해 원칙적인 동의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문제에 대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와 추가 도발 방지에 대한 확약, 그리고 비핵화를 위한 진정성의 확인을 위한 당국 간 대화가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같은 인도주의적인 사안을 시급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 북측의 남북 적십자회담 제의에 대해 이날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게 된 것이라고 한국 정부의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날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군사 실무회담의 이틀째 회의가 차기 일정도 잡지 못한 채 결렬됐기 때문에 고위급 군사회담의 개최 여부는 물론이고 적십자 회담의 개최 전망도 현재로선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과 적십자 회담의 선후 관계를 규정했기 때문입니다. 이종주 부대변인입니다.
이종주: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이 성사되고 나면, 군사 회담 이후에 적십자 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일자나 장소 등을 협의해서 회담 개최에 관한 구체적인 일정 등을 정하게 될 것입니다.
한편, 남북 간 회담 재개의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북측이 3-4월 파종기를 맞아 남측의 비료 지원이 절실하기 때문에 다시 통지문을 보내 회담을 제의해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북핵 6자회담의 재개와 미북 대화의 시작을 위한 전제 조건이 남북 관계의 진전이라는 점도 북한으로 하여금 남북 회담을 추가로 제의할 가능성을 남겨두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