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이 중국에서 남북한 종교교류를 위한 접촉을 갖자고 제안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해당 종교단체가 희망하는 일정에 맞춰 접촉 신청을 하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남북한 종교계는 꾸준히 접촉해왔습니다. 그러나 지난달 말 북측의 갑작스러운 거부로 교류가 중단됐습니다. 북측이 교류를 중단한 이유는 남측의 군사훈련 때문이었습니다.
이 시기 약탈 문화재 남북공동 환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개성을 방문했던 남측의 불교 관계자들은 그냥 남쪽으로 돌아와야만 했습니다.
그러던 북측이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다시 만나자고 연락을 해왔습니다. 이번에는 4개 종교단체가 남측의 종교단체 14곳에 동시에 통지문을 보냈습니다.
[녹취: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북한의 조선그리스도연맹 그리고 북한의 조선종교인협의회, 조선카톨릭교협회, 조선불교도연맹으로 되어 있습니다.”
북측은 통지문에서 오는 19일부터 이달 말까지 중국 베이징이나 선양에서 만나고 제안했습니다. 북측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남측의 통일부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16일 회견을 통해 밝혔습니다.
[녹취: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종교적이고 비정치적인 사안이니까, 이런 부분은 우리가 긍정적으로 허용하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의 해당 종교단체는 통일부의 접촉 승인이 이뤄지는 대로 일정에 맞춰 북측 종교단체와 접촉할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부는 지난해 9월 류우익 장관이 취임하고 대북정책의 유연성을 제시하면서 민간단체, 특히 종교단체에 한해서 방북을 허용했습니다. 남북교류에서 종교계의 공헌과,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종교계의 염원을 고려해 종교계의 방북을 승인한 것입니다.
[인터뷰: 대한불교 조계종 관계자]
“일단은 남북교류에 긍정적인 변화로 보고요. 김정은 체제로 들면서 많이 변화가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종교인의 한 사람으로서 이번 북측의 제안을 환영하는 바입니다.”
북한은 해방과 함께 공산정권이 들어서면서 종교를 미신과 동일시하고, 종교의식과 종교활동을 금지했습니다. 물론 북한에도 종교단체가 있고 종교인이 있지만, 이는 대외 선전용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