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 미군유해 회담서 안전문제 논의”

0:00 / 0:00

MC:

미국 국방부는 8일 북한 내 미군 유해발굴 사업 재개를 위한 미북 간 회담이 성사되면 북한에서 활동할 미군의 안전 문제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회담 장소와 시기는 결정된 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 실종자 담당국의 캐리 파커(Carie Parker) 공보관은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 국방부가 지난주 유해발굴 사업 재개 가능성을 논의하는 데 관심이 있다는 서한을 북한 당국에 보냈다면서 아직까지 북한 측 답신은 없으며, 이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파커 공보관은 북한 측에 올 가을 경 회담을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했으며 북한 측이 답신을 보내오면 회담 장소와 일자를 정해 회담에 나설 계획이라면서 회담 장소는 북한이 될지, 미국이 될지 혹은 제3국이 될 지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파커 공보관은 미국 측이 지난 2일 서한을 보내기에 앞서 북한 측은 지난달 7월 먼저 미국 측에 보낸 서한에서 북한 내 미군 유해발굴 사업과 관련해 논의하길 원한다는 의사를 밝혀왔다고 전했습니다.

파커 공보관은 북한 측과의 회담이 성사되면 유해 발굴재개 일정을 포함해 북한에 머무는 미군 측 인력의 안전 문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Parker)

Safety is always an issue with this operation and that will be discussed during talks if they agree upon the meeting.

미국은 1996년부터 10년 간 북한에서 33차례의 미군 유해발굴 작업을 통해 220여 구의 유해를 발굴했는데 2005년 미국 측은 북한 내 미군 유해발굴 인력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발굴 작업을 중단한 바 있습니다.

앞서 북한 측은 여러 차례 미군 유해발굴 사업을 재개하자는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지난해 말 북한을 방문했던 미국의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에게 이 사업에 적극 협조할 뜻을 밝혔고 올해 초 미국에 고위급 군사회담을 제의하면서도 이 문제를 의제 중 하나로 제시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6월 미국의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도 미북 간 양자접촉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 측이 유해발굴 사업 재개를 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한반도 전문가인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미국 국방부가 북한에 회담을 제안한 일이 외부로 알려진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면서 최근 뉴욕에서의 미북 고위급 회담에 이어 미북 두 나라는 정치적 논란을 빚을 가능성이 적은 유해발굴 문제를 매개로 직접 접촉을 시도하는 모양새라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클링너 연구원은 북한이 미군유해 발굴 사업에 협조적으로 나오는 것은 대미 유화 공세의 일환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북한의 핵폐기 의지나 미북관계 개선과는 별 관련이 없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한국전 당시 실종된 미군 병사는 8천 명 정도로 그 중 약 5천500명의 유해가 북한에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