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미군유해 발굴 독려 잇따라

0:00 / 0:00

MC:

다음달 북한 지역에서 재개되는 미국의 한국전 실종 미군유해 발굴 작업을 앞두고 미국 의회가 잇따라 이번 사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작업 독려에 나섰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새뮤얼 라클리어 차기 미국 태평양군 사령관 지명자에 대한 미국 의회의 인준 청문회가 열린 9일 오전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장.

북한의 권력 승계에 따른 안보 불안과 위협 못지않게 미국의 북한 지역 내 한국전 실종 미군 유해에 대한 발굴 재개가 의원들의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유해발굴 작업을 담당할 미군 합동전쟁포로실종자확인사령부(JPAC)가 태평양군 사령부에 속해있기 때문입니다.

켈리 에이요트(공화, 뉴햄프셔) 상원의원은 이날 청문회에서 라클리어 지명자에게 미군 유해발굴 작업 재개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

에이요트 상원의원

] 북한지역에서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이 곧 재개되는 데요, 한국전 참전 용사와 그 배우자 대부분이 현재 80대 고령으로 지금도 계속 세상을 뜨고 있습니다. 유해발굴 작업을 더 이상 늦춰선 안 됩니다.

그는 이어 현재 연간 80~90구 수준인 미군 유해의 신원 확인을 200구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고 라클리어 지명자는 전폭 지원을 다짐했습니다.

[

에이요트 상원의원

] 미군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 작업을 위한 합동전쟁포로실종자확인사령부의 활동을 전폭 지원하겠습니까?

[

라클리어 지명자

] 이 중요한 일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앞서 지난 달 17일에는 리처드 루거 상원의원이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8천 명으로 추정되는 6.25 참전 미군 실종자 중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며 이 문제를 이번 유해 발굴 작업 때 직접 북한 군부에 제기토록 촉구했습니다.

이 밖에 미국 하원이 지난해 말 한국전 전쟁포로와 실종자 그리고 민간인 납북자의 송환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 일치로 통과시킨 데 이어, 6.25를 포함해 미국이 참전한 전쟁에서 생겨난 미군 실종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는 의회 결의안의 추가 제출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우선, 지난 해 12월 미군 실종자와 전쟁포로에 관한 비밀 해제와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한 예산 증액 등을 골자로 한 하원 결의안 제485호가 군사위원회에 제출돼 심의중입니다. 또 지난 해 2월에는 미군 전쟁포로와 실종자 문제를 전담할 상임위원회를 미국 하원에 설치하기 위한 하원 결의안 제 111호가 운영위원회에 제출됐습니다.

미국 의회 소식통은 이와 관련해 미군 전쟁포로와 실종자 문제가 의회의 주요 의안 중 하나로 올해 11월로 예정된 선거를 앞두고 관심이 더 커질 걸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미국과 북한은 지난 해 10월 합의한 대로 한국전쟁 당시 실종된 미군의 유해를 발굴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내달 시작해 4월부터 본격적인 발굴 작업에 나설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