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용호, 유해발굴단 비자 약속 못 지켜”

0:00 / 0:00

MC:

미국이 유해 발굴단에 대해 북한이 입국 허가증인 비자를 발급해 주지 않자 최근 뉴욕을 방문한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을 통해 문제 해결을 간접 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22일 이달 초순 토론회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했던 리 부상이 당시 미국 측 참가자를 통해 전달된, 미군 유해 발굴단에 대한 비자 발급 요청에 긍정적인 답변을 내 놨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외교 소식통은 당시 리 부상의 답변 내용을 전달받은 미국 국방부 측은 문제가 곧 해결될 걸로 예상했지만 결국 비자 발급은 최근까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번 사례 역시 김정은 체제 아래서 북한 외무성을 중심으로 한 협상파와 군부를 중심으로 한 강경파 간 힘 겨루기에서 군부 쪽에 힘이 더 쏠리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미국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중단에 합의하자마자 위성 발사 계획을 들고 나온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겁니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전날인 21일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 작업 중단을 발표하면서 북한이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이유로 선발대의 입국 허가를 계속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의 조지 리틀 대변인은 당시 회견에서 북한의 최근 잇단 도발적 행동이 미국의 유해 발굴 작업 중단 결정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조지 리틀 대변인]

북한은 최근 적절하게 행동하지 않았는 데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행동기준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국방부 측은 이달 중 선발대 파견을 거쳐 다음달부터 북한 지역에서 본격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나설 계획이었습니다.

한편 이미 북한에 옮겨진 유해 발굴 작업용 장비의 처리 문제와 관련한 질의에 국방부 측은 이날 오후까지 답변을 내놓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