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과 미국의 국방 당국은 28일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전 전사자 유해발굴 협력과 관련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담당국(DPMO)의 제시카 페리노(Jessica Pierno) 공보관은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날 오전 한미 양국이 한국전 전사자 유해 발굴과 관련해 협력하기로 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국방부 측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8일 워싱턴 전쟁포로∙실종자 담당국에서 한국의 김일생 국방부 인사복지실장과 미국 국방부 피터 베르가(Peter Verga) 정책차관실 참모장이 양국의 국방부 장관을 대신해 ‘6.25전사자 유해발굴 협력에 관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합의각서에는 한미 양국의 유해발굴 협력 대상에 한국군과 미군, 유엔군은 물론 카투사(KATUSA), 즉 주한미군에 대한 한국군 지원병사도 포함됐고 또 앞으로 남북 공동 유해발굴에 대비해 한반도 비무장지대와 북한지역까지 한미 간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한국 국방부 측은 이번 합의각서로 “남북한 공동 유해발굴 추진 때 미국 측의 기술을 전수받고 6.25 참전국의 실종자 유해발굴과 인도를 통한 국제적 신뢰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언론은 앞으로 남북관계 개선에 따라 남북한이 비무장지대와 북한 지역에서 전사자 유해를 공동 발굴할 때 미국 측도 이에 협력하기로 했다면서 원칙적으로 한미 양국의 6.25전사자 유해 발굴 협력이 북한 지역에서도 가능해졌다고 전했습니다.
미국은 1996년부터 10년 간 북한에서 33차례의 발굴 작업을 통해 6.25전 당시 실종된 미군 유해 220여구를 발굴한 경험이 있는데 미국 측의 이러한 경험과 기술을 한국 측이 전수받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미국 국방부 측은 이번에 체결된 한미 간 합의각서가 미국이 내년 봄부터 재개하는 북한 내 미군 유해발굴 사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