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원격진료체계를 구축했다고 자랑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최근 북한 당국은 정보기술을 이용해 먼 거리에서도 큰 병원의 의사와 상담을 하고 진단을 받는 것은 물론 한의학 치료지원도 받을 수 있는 일명 원격고려의료봉사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체계를 통해 각 지방에 있는 의료진이 진단과 치료에 관한 자료들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전반적인 고려의료봉사, 즉 한의학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북한 의료계에서 종사했던 탈북자 김 모씨는 치료를 받기 위해 뇌물까지 바쳐야 하는 낙후된 북한의 의료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이 같은 체계가 등장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김 모씨: 좀 아프다 할 때 내 생각에는 좀 큰 병원에 가야 하겠는데 그렇게 하려면 일반인들은 자기 동네의 작은 진료소를 먼저 가야 하고, 그 다음에 파송증(추천서)을 발급받아서 조금 더 큰 병원으로 가게 됩니다. 그리고 또 평양에 있는 중앙병원 같은 곳에 가려면 여행증도 발급받아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병이 전이돼서 결국 마지막에 병원에 오는 사람을 보면 상태가 심각해 지는 것이죠. 게다가 병원에서 일하는 노동자라도 알아야 그 사람을 내세워서 파송증 없이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당국은 일반 주민들도 컴퓨터망을 통해 이러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선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러한 체계가 과연 일반 북한주민들에게 어느 정도까지 혜택을 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부족한 전기공급과 저조한 컴퓨터 보급률이 문제라는 겁니다.
동의사(한의사) 출신 탈북자 강유 씨는 전기가 없어 엑스레이 촬영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마당에 원격진료는 있을 수 없다며 안정적인 전기공급과 일반가정의 컴퓨터 보급, 그리고 인터넷망 구축과 같은 기반조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강유 선생: 병원에 가고 싶으면 가기는 갑니다. 근데 (약품이 항상 부족하다 보니) 주로 침을 맞고 뜸을 뜨고 하는 것인데, 여기 한국에서처럼 종합검진을 한다던가 CT촬영을 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합니다. 전기가 있어야 시스템도 가동되고 하는 거지, 인터넷이 어디 전기 없이 되는 겁니까. 큰 병원에서도 (엑스레이)촬영 같은 것을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있는데 지방병원에서 그렇게 한다는 건 말이 안됩니다.
주민의 건강을 책임져야 하는 병원의 시설확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그러한 시설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조성과 의약품 확보가 시급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