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북한은 엄중한 책임 지게 될 것”

0:00 / 0:00

앵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12일 공식 논평을 내고 북한이 "엄중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한국의 국방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위에 탑재된 탑재물이 궤도에 일단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직후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은 정부의 공식 논평을 발표하면서 북한이 발사한 것은 “소위 실용위성 명목의 장거리 미사일”이라고 규정했습니다.

“북한의 이번 발사는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와 1718호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서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도전이며 위협”이라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그간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발사 철회 요구를 무시하고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강행한데 대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강력히 규탄한다. 지난 4월 유엔 안보리가 의장성명을 통해 경고한 대로 북한은 이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김 장관은 또 “북한은 이번 발사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더욱 고립될 것”이라면서 “정부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허비하는 막대한 재원을 절박한 민생 문제 해결에 사용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국의 국방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조짐을 11일 오후부터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가 성공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김민석 대변인이 말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한-미 군사 당국은 좀 전에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위에 탑재된 탑재물이 궤도에 일단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궤도에 진입은 했지만 궤도에서 정상적으로 계속 작동하는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합니다.

“탑재물이 위성을 뜻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김민석 대변인은 “북한식 표현으로는” 위성이지만 한국 정부는 “탑재물”로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의도와 관련해 “군심과 민심 결집을 통해 김정은 지배체제의 안착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소재 발사장에서 12일 오전 9시49분50초경에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를 한국군이 식별한 시간은 9시51분20초였다고 밝혔습니다.